학산리 지석묘 학산리 지석묘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이 곳 아사마을의 밭에는 5~10m의 거리를 두고 4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가장 큰 덮개돌의 길이는 3.5m이며 이 중에는 깨져서 본래의 모습을 잃은 것도 있다. 이 고인돌은 땅 속에 돌로 된 방을 만들고 ..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29
산방산비원 산방산비원 산방산비원은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 위쪽에 있는 산방산 자락 5만여 평에 조성되어 있다. 방하리는 청마 유치환의 생가가 있는 문화마을로 청마기념관이 있으며 인근에 청마의 묘소가 있다. 산방산비원은 객지에서 자수성가한 거제사람 김덕훈 씨가 사재 100억 원을 투입하여..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29
오량 석조여래좌상(烏良 石造如來坐像) 오량 석조여래좌상(烏良 石造如來坐像) 오량 석조여래좌상은 1950년 무렵, 석불암 산밑에서 논을 개간하던 사람에 의해 발견된 뒤 석불암에 모셔지게 되었다. 석불의 얼굴은 전체적으로 계란형의 단아하고 근엄한 인상이었으나 덧칠을 하고 눈과 눈썹, 수염을 그려 넣음으로써 오히려 어..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24
사등성지 사등성 사등성은 삼한시대 변진 12국 중의 하나인 독로국의 왕성이었다고 하나 증명할만한 자료는 없다. 다만 조선의 ‘문종실록’에 의하면 고려 말엽 왜국의 침략을 당해 거창으로 피난갔던 게제 사람들이 조선 초기에 왜구의 침략이 줄어들자 섬 안의 수월리라는 곳으로 들어와 나무..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24
오량성(烏良城) 오량성(烏良城) 오량성의 형식과 축성 방법, 구조 등은 인근의 사등성, 고현성과 같은 축성법으로 쌓았는데 고려 의종이 정중부 등의 무신의 난으로 폐위된 뒤 이곳에 머물면서 군사를 두었다가 사태가 위급할 시 뒷산 정상에 있는 폐왕성으로 올라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다. 오..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23
청곡리 지석묘(靑谷里 支石墓) 청곡리 지석묘(靑谷里 支石墓) 청곡리 지석묘는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의 유적이다. 평평한 자연의 바위를 뚜껑돌로 하고 5~6개의 굄돌(支石)로 받혔으나 지하의 묘실(墓室)은 확인되지 않았다. 남부지역에 많이 발견되는 바둑판식 지석묘이다. 청동기 문화인들이 이 지역에서 생활하던 ..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23
고현성(古縣城) 고현성(古縣城) 고현성은 조선 문종(1451년)에 쌓기 시작하여 1453년(단종 원년)에 완성하였다. 아울러 사등성(沙等城)에 있던 거제의 관아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이성은 1663년(현종4)에 관아를 거제면으로 옮기기 전까지 거제의 읍성(邑城)역할을 했다. 성은 거제 계룡산 동쪽 기슭에..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21
구율포성(舊栗浦城) 구율포성(舊栗浦城) 구율포성은 원래 외포 바닷가에 있는 것을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고 전해지나 이를 증명하는 기록은 없다. 이 성(城)은 평지에 돌을 쌓아 올린 것으로 축조시기도 확실하지 않다. 다만 그 규모나 형태, 축조수법 등으로 미루어 조선 성종(1470~1494)시기에 축조된 것으..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17
장목진 객사(長木鎭 客舍) 장목진 객사(長木鎭 客舍) 거제는 왜구의 침략이 심하여 조선 초기에 7개의 군진을 설치하였는데 장목진은 그 중의 하나이다. 이 객사는 상량문에 의하면 본래 장목면 동구에 있었던 것을 1592년(선조 25)에 서구로 옮겨와 지은 것이라 한다. 지금의 객사(客舍)는 1785년(정조9)에 중건된 이래..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17
거제맹종죽 테마파크 거제맹종죽테마파크는 거제시 하청면 거제북로 700(실전리 880)에 있다. 맹종죽테마파크는 어린이들이 놀 수 있는 공간과 함께 연인, 가족끼리 산책과 죽림욕을 통한 웰빙테마파크로 손색이없다. 입구에 들어서면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맹종죽을 거제에 처음으로 식재하여 오늘날의 .. 거제여행100배 즐기기 2014.07.15